미디어라이프 중부신문 이도경 기자 | 주요 국립 문화기관의 소장품 구입 예산이 장기간 동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광산을)이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소장품 구입예산 현황’에 따르면, 국립중앙박물관은 10년째 연평균 약 40억 원, 국립현대미술관은 약 52억 원을 소장품 구입 예산으로 사용했다.
10년 새 소비자물가지수가 19.98% 상승한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박물관·미술관의 실질 구매력은 ‘마이너스’가 된 셈이다.
해외와도 대조적이다. 국립현대미술관과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소장품 구입 예산은 약 16배 차이가 났다. 연평균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817억 원), △영국 테이트미술관(397억 원), △뉴욕 현대미술관(282억 원), △영국박물관(201억 원), △일본 국립문화재기구(133억 원)에 달했다. 매년 수백억 원씩 소장품 구입에 투자하고 있다.
학예전문 인력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등록 박물관 총 916개관, 전체 직원 1만 1,518명 중 학예전문 인력은 3,982명으로 비율이 34.6%에 불과하다. 이는 OECD 평균(약 65%)의 절반 수준이다.
민형배 의원은 “정부가 K-컬처 300조 시대 달성을 위해 국민이 누리는 문화 인프라 투자부터 강화해야 한다“며, ”소장품 확보와 학예인력 확충은 문화주권을 지키는 투자로 정부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