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경찰청-우주항공청, 국가중요시설 대상 불법드론 대응 첨단기술 첫 공개

국가중요시설 대상 불법드론에 대한 탐지·식별·무력화 및 디지털포렌식 등 ‘지능형 통합 대응기술’ 첫 공개

 

미디어라이프 중부신문 이도경 기자 | 경찰청과 우주항공청은 9월 18일 13:00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민·관·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 시설에 ‘불법드론’이 침투한 상황을 가정한 ‘대응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날 시연은 경찰청과 우주항공청이 주관하는 「불법드론 지능형 대응기술 개발」 사업의 하나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021년 4월부터 연구를 수행하여 마침내 ‘불법드론’에 대한 탐지·식별·제어권 탈취(무력화)·포렌식(사고조사)을 통합한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

 

시연은 총 3단계로 구성된다. 처음은 ‘탐지·식별’로 RF(Radio Frequency) 스니퍼(Sniffer)를 이용하여 드론이 조종기와 주고받는 통신 주파수를 분석해 불법드론의 기종 등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다. 드론에 대한 ‘탐지·식별’이 완료된 이후부터는 조종자의 위치, 촬영 중인 영상 등 증거를 ‘라이브 포렌식’ 기술을 이용해 저장한다.

 

다음은 ‘제어권 탈취(무력화)’ 단계이다. ‘탐지·식별’을 통해 확인한 정보에 따른 취약점을 이용해 조종 권한을 빼앗는 것으로, 물리적 대응에 비해 드론 추락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공항·원자력시설은 물론 도심지역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마지막은 ‘포렌식(사고조사)’으로, 착륙시킨 드론 기체와 조종자로부터 획득한 조종기, 스마트폰 등을 분석하여 비행경로, 촬영 사진·영상 등 범죄 입증 자료를 획득한다.

 

참석자들은 시연이 끝난 후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미비점에 대한 보완을 요청했으며, 주관연구기관(한국원자력연구원)은 오는 11월 이를 반영한 최종결과물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은 “드론 기술의 급속한 발전만큼이나 관련 범죄에 대비한 포렌식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성공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수사역량 강화에 보탬이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김현대 우주청 항공혁신부문장은 “전 세계적으로 드론 관련 보안 위협이 커지고 있다.”라며 “이번 기술 성과가 우리나라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안전을 지키는 핵심기술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찰청과 우주청은 이번 시연에 이어, 오는 10월 말에는 양양공항에서 2차 국가중요시설 대상 불법드론 대응 시연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