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라이프 중부신문 이종인 기자 | 경기도민 10명 중 8명이 폭염을 위험하다고 인식하지만, 절반은 정부의 폭염 대응 제도를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일용직 근로자 등 취약계층에서 제도 인지율이 30%에 머물러,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한 맞춤형 교육과 정보 전달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지난 7월 30일부터 8월 1일까지 도내 만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폭염 인식 및 대응 제도 인지도’에 관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고,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신뢰수준 95%에서 표본오차는 ±4.5%포인트다.
조사 결과, 폭염을 ‘매우 위험하다’(39.6%) 또는 ‘약간 위험하다’(40.0%)고 답한 비율은 79.6%로 높게 나타났다. 20대(85.8%), 저소득층(87.7%), 미취업자(82.6%) 순으로 위험 체감도가 높았다.
반면, 고용노동부가 7월부터 시행한 ‘폭염 대응 근무지침’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52.0%에 그쳤다. 특히 저소득층(31.5%), 고졸 이하(25.2%), 20대(23.4%), 일용직 근로자(34.5%)는 인지율이 평균보다 20%포인트가량 낮아, 폭염 대응 정보 접근성에서 뚜렷한 격차를 보였다.
폭염 피해에 대한 우선 지원이 필요한 계층으로는 옥외 근로자(76.4%), 노인층(67.8%), 저소득층(37.0%)이 지목됐다. 일용직 근로자는 옥외 근로자 지원 필요성을 89.7%로 응답해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폭염 피해를 줄이려면 계층별 특성을 반영한 제도 안내와 맞춤 교육이 병행돼야 한다”며 “평생학습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취약계층의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폭염·폭우 등 기후재해로 인한 피해를 보장하는 ‘경기 기후보험’을 4월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도민은 별도 가입 절차 없이 자동 가입되며, 피해 유형에 따라 10만~50만 원의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8월 12일 기준 1,362건의 보험금이 지급됐으며, 이 중 276건이 온열질환 진단·입원비로 집계됐다.